람다

Infra

[AWS] 람다 Sharp를 활용한 이미지 리사이징 처리하기

시작 다량의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를 구현해야 한다. 백엔드가 Node.js로 굴러가서 리사이징 같은 CPU 소모가 큰 작업 때문에 이미지 업로드는 백엔드에 맡기지 않고 람다에 전적으로 의존하기로 했다. 구조 잡기 단순 캡처파일이 아니라 실제로 촬영한 이미지가 스펙상 한 번에 10~20장 정도 업/다운로드를 생각하고 진행했다. 업로드는 어드민에서만 진행하기에 큰 이슈가 없었지만 사용자가 한 번에 10~20장의 이미지를 받아야 하기에 원본제공은 무리라고 생각했다. 그나마 다행인 건 어드민에서만 업로드가 진행될 거라 문제 발생 시 좀 유연하게 대처해도 될 거라 생각했고 어드민에서 업로드는 1일 30회 미만으로 될거같아 ColdStart 환경도 UX를 그렇게 해치지 않을 거라 판단했다. 프론트에서 S3로..

Infra

[AWS] lambda로 API서버 만들기

해당 게시글은 node.js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시작 작업 중 다중 이미지 업로드를 구현할 일이 생겼다. 한 번에 열 장 정도 업로드 될 걸로 예상하지만 휴대폰으로 찍은 고화질 사진이기에 심하면 한 번에 200MB 정도 업로드 되는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야겠다고 생각했다. 백엔드에서 리사이징을 진행하더라도 일단 업로드받아서 처리하는데 싱글스레드인 node.js가 버텨줄지 의문이었고 클러스터를 믿고 의존하고 그러기 싫었다. (사실 몰라서 못 믿는 거지만.) 프론트에서 리사이징 시켜서 업로드해 버릴까 생각도 했지만 좀 더 찾아보기로 했다. 사실 serverless는 니꼴라스같은 유튜버가 혁신이네 뭐네 하면서 강의하는 것만 봤지 실제로 써볼 생각은 안 했다. 서버가 있는데 왜 안 써..? 굳이..? ..

개발조무사 윤뚜비
'람다' 태그의 글 목록